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18:00
- 일요일 08:30~15:00
- 공휴일 08:30~13:00
- 토요일 ** 휴진 **
- 점심시간 13:00~14:00
031-554-8275
홈으로_ 고객광장_ 건강칼럼
방광염과 신우신염, 어떻게 다를까? [1분 Q&A]
q. 감기 걸릴 계절이 아닌데 갑작스레 열이 나 으슬으슬하고, 옆구리 통증이 생겨 병원에 방문했더니 신우신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신우신염이 생소하여 어떤 질환인지, 방광염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신우신염을 정확히 진단하는 방법과 치료 과정, 그리고 치료 시 주의할 점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안녕하세요. 비뇨의학과 전문의 이우승(유로진비뇨의학과의원)입니다.
신우신염은 신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대부분 대장균 등 장내 세균이 요로를 타고 올라오는 상행성 요로감염이 원인입니다. 요로결석, 요관협착, 요관구 및 방광게실, 방광요관역류 등 소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해부학적·기능적 요관 막힘이 있는 경우 더 자주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은 발열, 오한 등 전신 증상과 함께 옆구리 통증(cva tenderness)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방광염이나 요도염은 배뇨통, 하복부 통증, 빈뇨·요절박·잔뇨감·야간뇨 등 배뇨 증상은 있을 수 있지만 발열 같은 전신 증상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옆구리나 하복부의 통증이 있을 때는 요로결석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며, 결석이 있으면 소변검사에서 혈뇨가 발견되는 일이 흔합니다.
진단은 소변검사(세균배양, 요 일반검사)에서 세균뇨, 농뇨 등의 이상 소견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소변검사와 진찰만으로는 신우신염을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등 다른 요로감염에서도 비슷한 검사 결과가 나타날 수 있고, 늑골척추각 압통이나 통증은 요로결석이나 다른 비뇨기과 질환, 근골격계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필요하다면 엑스레이, 경정맥 요로조영술, 복부 ct 등을 시행해 신우신염, 요로결석, 신장종양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