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18:00
  • 일요일 08:30~15:00
  • 공휴일 08:30~13:00
  • 토요일 ** 휴진 **
  • 점심시간 13:00~14:00

031-554-8275


건강강좌

홈으로_ 고객광장_ 건강강좌

제목

"화장실 언제 갔더라?"...노인 변비, 그냥 두면 '이런 문제'까지 [황수경의 건강칼럼]

여러 합병증 부르는 '노인변비'변비와 함께 혈변, 체중감소 나타나면 병원 꼭 찾아야김정훈 원장 "치료만큼 중요한 건 예방, 생활습관 점검해야"
[내레이션 : 황수경 아나운서]변비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질환입니다. 볼일을 잘 못 보는 것만큼 불편한 일이 없는데요. 특히 65세 이상의 ‘노인변비’는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도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만성 변비가 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는데요. 흔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질환, 노인변비의 증상과 문제점을 자세히 알아봅니다.우리나라 65세 이상 기준 만성 변비의 유병률은 30~40%입니다. 전체 유병률이 16%인 것과 비교했을 때 꽤나 높은 수준인데요. 신체 장기의 노화, 그로 인한 생리 기능의 저하가 노인변비의 주원인입니다. 실제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배변활동에 영향을 주는 대장, 항문, 골반 근육 등이 약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고요. 또, 당뇨나 갑상선 기능저하증, 파킨슨병, 척추 손상 같은 질환도 변비와 관련돼 있습니다.이와 더불어서 적은 양의 식사, 신체활동의 감소, 그리고 기저질환 때문에 먹는 다양한 약물이 노인변비를 부르기도 합니다. 항히스타민제, 항파킨슨제, 마약성 진통제, 우울증 약과 일부 고혈압 약들이 대표적이죠.문제는 이러한 변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입니다. 변비를 방치하면 복부 팽만감, 조기 포만감, 가스 팽창, 오심과 구토 증세가 같이 나타나서 삶의 질이 떨어지기 쉽고요. 합병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치질이고요. 항문균열, 직장탈장, 요도가 막히는 요폐, 그리고 흔하지는 않지만 배변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나타나는 장폐색증 역시 노인변비의 합병증입니다.‘변비 때문에 병원을 가야 하냐’는 분들도 계신데요. 혈변, 체중감소, 혹은 변비와 함께 극심한 복통이 있을 때는 꼭 전문 의료기관을 찾아서 원인을 파악해 봐야 합니다. 병원에서는 당뇨나 파킨슨병과 관련된 이차성 변비 유무를 파악하고요. 항문직장수지 검사와 같은 이학적 검사로 기질적 원인을 감별합니다.변비약을 장기 복용해도 되는지 염려하는 환자분들도 계신데요. 먼저, 임의적인 약 복용은 내성이나 부작용 위험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를 통해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처방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변비약은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부피형성하제, 삼투성하제, 자극성하제로 구분하고요. 일차적으로는 부피형성하제나 삼투성하제를 주로 투여합니다. 효과가 없는 경우라면 자극성하제를 사용해 볼 수도 있지만, 장기투여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있기 때문에 신중히 처방해야 하죠.치료만큼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기본은 배변습관인데요. 변을 참지 말고 10분 이상 변기에 오래 앉아 있지 않아야 합니다. 운동은 주 3~5일, 하루 20~60분가량 중간 강도로 꾸준히 해주시고요. 평소 수분과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특히, 식이섬유는 만성 변비 환자에서 배변 횟수를 늘려줄 수 있으면서도 심각한 부작용이 없어서 초기 만성 변비에 활용하면 좋습니다.혹시 전에 없던 변비가 생겼거나 심한 복통이 있을 때, 대변의 굵기가 변했을 때, 또 의도치 않게 체중이 빠지거나 배변 시 피가 나오는 경우는 대장암의 신호일 수 있으니까요. 빠르게 내시경 검사를 받으시길 당부드립니다.칼럼 = 하이닥 의학기자 김정훈 원장 (강동천호내과의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