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18:00
- 일요일 08:30~15:00
- 공휴일 08:30~13:00
- 토요일 ** 휴진 **
- 점심시간 13:00~14:00
031-554-8275
홈으로_ 고객광장_ 건강칼럼
'세계 비만의 날' 맞아 비만인지 확인해보세요

아울러 남학생의 2021년 비만 유병률은 17.5%로 10년 전보다 2.6배 증가했다. 여학생의 비만 유병률은 2011년 4.2%에서 2021년 9.1%로 2.2배 증가했다.비만 유병률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비만은 비정상적으로 체지방이 증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체중보다는 체지방량을 아는 것이 중요한데,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량을 비교적 정확하면서도 간단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체질량지수(bmi) = 체중(kg)/ 신장(m) × 신장(m)체중과 신장 모두 소수점 한 자리까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체중은 언제 측정하느냐에 따라 값이 변하기 때문에 항상 같은 시간에 같은 조건에서 여러 번 측정하는 것이 좋다. 가장 좋은 측정 방법은 8시간 금식 후 아침에 소변을 본 후 가벼운 옷차림으로 재는 것이다. 단, 가임 여성이라면 생리 중에는 여성 호르몬 영향으로 과식하지 않아도 1~2kg 정도 몸무게가 늘 수 있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신장은 측정 기계에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은 60도 간격으로 벌린 상태에서 가능한 한 머리, 어깨뼈, 엉덩이, 발꿈치를 벽에 붙이고 숨을 깊게 들이 쉰 상태로 측정한다. 두 값을 정확히 측정했다면,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눠 체질량지수를 구한다.170cm에 70kg인 성인이라면 70kg/ (1.7m)2이므로 체질량지수는 24.2가 된다. 이는 비만 전 단계에 해당하는 수치로, 체질량지수가 25.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bmi < 18.5 : 저체중bmi 18.5~22.9 : 정상bmi 23~24.9 : 비만 전 단계 (과체중 또는 위험체중)bmi 25~29.9 : 1단계 비만bmi 30~34.9 : 2단계 비만bmi ≥ 35 : 3단계 비만 (고도비만)단, 운동선수처럼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지방보다 근육 무게가 더 많이 나가기에 비만이 아니어도 체질량지수가 높을 수 있다. 또, 성장기 어린이에게는 위의 기준이 아닌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 기준을 사용한다.